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파이썬
- BOJ
- softeer
- 큐
- 백준
- 코딩테스트 준비
- 혁펜하임
- 기능개발
- 구현
- 해시
- 코딩테스트준비
- 개발자 취업
- til
- 활성화 함수
- easy 딥러닝
- BFS
- leetcode
- 항해99
- python 2309
- 딥러닝
- 99항해
- 알고리즘
- boj 2309
- 개발자취업
- 스택
- 99클럽
- 백준 2309
- 프로그래머스
- Python
- dfs
- Today
- Total
목록알고리즘 (2)
동까의 코딩
1. BFS(너비 우선 탐색) 알고리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, 어떤 자료구조를 사용하는지,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.BFS(너비 우선 탐색)는 그래프나 트리에서 시작 정점에서부터 인접한 노드를 먼저 방문하는 알고리즘입니다. BFS의 핵심 아이디어는 시작 정점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노드들을 먼저 처리하고, 그 다음 거리에 있는 노드들을 차례대로 탐색하는 것입니다.먼저 BFS의 작동 원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시작 정점 선택: 탐색의 출발점이 되는 정점을 선택합니다.큐(Queue) 사용: BFS에서는 FIFO(First-In, First-Out) 원칙을 따르는 큐를 사용합니다. 즉, 먼저 방문한 정점부터 처리하게 되어, 각 단계별(레벨별)로 노드를 확장합니다.인접 노드 방문: 현재 정점..
1. DFS를 구현하는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은 재귀 호출을 이용하는 것과 명시적인 스택(Stack)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. 각 구현 방식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해주세요1. 재귀 호출을 이용한 DFS장점:간결하고 직관적: 재귀 호출을 사용하면 코드가 간단해지고, DFS의 기본 개념(현재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자연스럽게 진행)을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내장 스택 활용: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 호출 스택을 활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자료구조를 구현할 필요가 없습니다.단점:스택 오버플로우 위험: 탐색 깊이가 매우 깊거나 그래프가 크면 함수 호출 스택이 넘칠 수 있습니다.제어의 한계: 재귀 과정 중에 스택 상태를 직접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, 특정 상황에서 세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유연성이 떨어질..